정부 또한 그에 보조를 맞춰 사회복지에 대한 예산을 매년 증가시키면서 발전해 가고 있다. 물론 아직도 클라이언트 욕구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고 볼 수 있지만. 그래도 과거에 비해서는 많이 나아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정부에서는 직접 클라이언트들에게 제공하기 어려운 사회복지서비스들도 있기에 이런 경우에는 중간매개체인 사회복지시설이나 기관 및 단체 등을 통해서 제공하고 있다. 이 경우 중간매개체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들이 어떠한 사회복지 마인드와 전문화된 지식을 갖고서 클라이언트들에게 접근해 가느냐에 따라 사회복지의 질과 수준이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사회복지서비스에는 하드웨어적 측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적 측면도 있다. 특히 직접 클라이언트들과 접하는 중간매개체들의 소프트웨어개발은 아무리 강조한다 해도 결코 지나치다고 할 수 없다. 그래서 이들 중간매개체에는 전문가들 집단이 근무해야 하고 그 집단은 끊임없이 양질의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클라이언트들에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중간매개체에서 간혹 그렇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는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들 중간매개체는 어느 개인이나 집단의 소유가 아닌 국민의 소유라 할 수 있다. 그 운영비의 대부분을 국민 혈세로 지원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혈세가 낭비되는 현상이 초래된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지 않겠는가. 정부에서는 사회복지향상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 지원해주기는 하되 그 사후관리를 철저히 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국민이 납부한 세금을 한 푼도 소홀히 낭비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 중간매개체들에 대한 감시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그 감시기능은 국가기관에서의 감사뿐만 아니라 시민단체, 변호사・회계사・사회복지사 등 전문가 단체, 이용자・시설생활자 대표 등 각계각층의 대표자들로 구성된 단체 등이 나서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귀한 세금을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도록 예산을 잘 짜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세금을 적절하게 잘 활용했는지 등 사후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여하튼 복지서비스의 질을 최상으로 높여 복지 세상을 피워내도록 우리 모두 최선의 노력을 다할 때가 바로 지금이라고 본다. 배전의 노력을 기하도록 하자.
편집국 gwangmae56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