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 관리도 AI가 척척, 효율성 높이는 농어촌공사
검색 입력폼
경제

농지 관리도 AI가 척척, 효율성 높이는 농어촌공사

AI기반 농지 조사·분석, 현황 DB화로 체계적 관리 농지 정보 조회, 임대차 만료 농지 알림 서비스도

한국농어촌공사가 똑똑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농지관리 업무의 효율성과 대국민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21일 AI, 드론 등 최신기술을 농지조사에 적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대국민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AI 기술은 농지의 취득·소유, 이용·전용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농지 상시 조사 업무 과정에서 지장물 자동식별 분석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올해는 지난해 시범적으로 실시한 AI 농지분석시스템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AI 분석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농지조사와 분석 결과는 농식품부 차세대 농업농촌 공간정보 통합시스템과 전국 지자체 농지대장 정비에 활용할 예정이다.
공사는 지난해 농지원부 중심의 농지관리 체계를 농지대장으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889만 필지에 대한 현장 조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종전 1인당 하루 평균 조사량이 55필지에 불과하던 것을 모바일앱과 항공촬영, 드론 조사 방식을 도입해 하루 조사 물량을 111필지로 약 2배 넘게 끌어올렸다.
민원인의 농지정보 조회와 농지대장 발급 서비스도 대폭 개선했다.
농지 공간 포털(https://njy.mafra.go.kr)을 통해 농지 소유인 또는 임차인이 농지정보를 조회하고 정부24 연계를 통한 농지대장 발급 등 원스톱(one-stop)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올해부턴 농지 소유자와 임차인을 대상으로 국민 비서를 통한 농지 임대차 만료 사전알림 서비스를 오픈해 농업인의 계획적인 영농활동도 지원하고 있다.
이영훈 농어촌공사 농지관리처장은 "농지관리업무에 디지털 관리체계를 도입한 결과 업무 효율성과 고객만족도가 향상됐다" 면서 "디지털 전환은 시대를 대표하는 패러다임인 만큼 농지관리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지속 확대해 가겠다"고 말했다.
나주 이명열 기자 gwangmae56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