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에 인공지능과 자동차 산업 기반의 미래도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국비 지원 등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
1일 광주시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월25일 국무회의 심의를 통해 비수도권 국가·지역전략사업 부지 15곳에 광주가 제출한 미래차국가산단을 포함했다.
미래차국가산단 예정부지는 광산구 오운동 일대 338만4000㎡(102만평)이다. 이 중 95.6%인 323만4000㎡(98만평)는 환경평가 1·2등급지로 개발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미래차국가산단이 국가전략사업으로 확정되면서 걸림돌이었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규제도 해소됐다.
광주시는 자동차와 인공지능이 융합된 미래의 신도시 ‘더 브레인 시티 광주’ 프로젝트를 구체화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광주 제조업의 43%를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산업을 인공지능과 결합해 집적화하고 신도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광주시는 자율주행차와 로봇, 인공지능 도시관리, 스마트홈 등 다양한 첨단기술을 현실 환경에 접목해 실증하는 미래형 신도시 ‘한국형 우븐시티’를 조성할 계획이다.
일본의 도요타 우븐(Woven)시티는 다양한 첨단기술을 현실 환경에 구현한 넷제로 미래형 도시로 시즈오카현 스소노시에 위치해 있으며 약 72만㎡(22만평)에 2000여 명이 입주해 있다.
광주시는 미래차국가산단 부지에 ‘메가 샌드박스 시범 도시’를 2026년부터 2031년까지 건설하는 데 사업비 1조800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했다.
광주와 대구를 연결하는 달빛철도를 연장하고 광주연구개발특구와 광주송정역, 영광으로 연결되는 철도 등을 신설해 국가산단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기업을 키우고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메가 샌드박스와 연계한 연구개발(R&D)과 기반구축, 교육·인력 양성을 위한 플랫폼 구축과 함께 민관협력을 위한 통합 전담기관 설립도 구상하고 있다.
미래차국가산단을 빛그린국가산단·진곡산단과 연계한 ‘미래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특화단지를 구축할 계획도 세웠다.
인공지능·모빌리티 기술을 개발하는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학습·성장·실습이 가능한 주행시험장(PG) 설치, 신재생에너지(RE100)와 자원순환을 기반으로 한 산단도 조성할 예정이다.
미래차국가산단이 본격 가동되면 신규 일자리 1만개 창출, 2조원 규모의 경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됐다.
광주시는 미래차국가산단의 국가전략사업 지정에 따라 올해 개발제한구역 해제 절차를 진행하고 2026년 산업단지 계획 승인과 고시를 거쳐 2027년 토지보상 협의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후 보상이 완료된 부지부터 착공에 들어가고 2031년 공사를 마치고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광주의 계획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
데이터 집적과 국가AI데이터센터 등을 통한 학습, 인공지능 기업 유치로 이어지는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국부펀드 지원 전제 조건이다.
이어 메가 샌드박스 시범도시 사업을 위해 개인정보 규제를 해제하고, 기명정보활용 구역 지정도 해결해야 한다.
인공지능을 국가전략형 일자리로 지정해 근로소득세와 법인세를 감면하고, 해외인력 체류 요건 완화 등의 정책도 뒷받침 돼야 한다.
이와 함께 광주가 모빌리티·인공지능·문화콘텐츠·에너지·메디헬스케어 산업 등을 집중 육성할 수 있도록 도시 전체에 대한 규제 특구 지정 등이 필요하다.
최태조 인공지능산업실장은 “미래차국가산단이 국가전략사업으로 선정된 것은 광주 경제의 한축을 담당할 미래모빌리티산업 성장의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국가적 지원을 통해 미래차국가산단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높이겠다”고 밝혔다.
신영길 기자 gwangmae56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