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남 광양시 다압면은 2024년 매화축제 중이다. 광양시는 고질적인 주차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셔틀버스 전면 운행을 하고 있고, 바가지 장사를 근절시키기 위하여 허가 부스 판매장에서 착한 가격 등으로 관광객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문제는 허가받지 않고 지역 주민들의 공터나 밭 등을 단기 임대하여 음식 장사 등을 하는 무허가 상인들이다.
이들은 광양시의 단속 경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바가지 영업을 하고 있으며 무허가 식당 등에서 발생한 오·폐수 등을 우수관으로 흘려보내는 등 막가파식의 상행위를 하고 있다.
광양시 관계자는 위생과 직원 10명과 함께 위생 상태를 점검하고 있으며, 위법한 행위를 하는 무허가 상인들을 고발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광양 매화축제는 이번 행사부터 입장료 5,000원을 징수하고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서 축제 상품권을 발급해 주고 있다.
축제 상품권은 광양시에서 영업 허가를 해준 부스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불법 부스는 사용할 수 없지만, 불법으로 장사를 하는 천막에 축제 상품권 사용 가능이라는 안내 글이 버젓이 붙어있다.
불법 장사꾼들이 축제 상품권을 받고 영업하여도 광양시는 허가업체 외에는 현금으로 교환할 수 없지만, 불법 업체에서 상품권을 받아서 지역업체에서 확인하여 판매하고 상품권을 일명 깡 형태로 사들인 누군가는 불법 이익을 얻고 있다는 의심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허가 부스가 120곳이지만 불법 부스가 허가 부스의 거의 두 배에 가까운 숫자지만 광양시는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광양 매화축제의 발전과 축제의 본질을 지키기 위해서는 불법 천막에서 상행위를 하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불법 상인들은 각종 위생 문제 환경문제 바가지 문제 등으로 지역민과 관광객들의 비난을 받고 있지만 여론을 무시한 채 법과 행정절차의 맹점을 이용해서 불법영업을 계속하고 있다.
지역 청년회 소속 A 씨 (남 /47세)는 해마다 불법 상인들 때문에 광양 매화축제가 욕을 먹고 있고, 땅을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씩 받고 불법저으로 임대한 당주들도 따지고 보면 자신들 친척이나 이웃이기 때문에 강력히 항의도 못하는 입장이라며 근본적인 해결책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정광훈 기자 gwangmae56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