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군, 지방자치의 신드롬 ‘보성600’ 사업의 브랜드화
검색 입력폼
지역

보성군, 지방자치의 신드롬 ‘보성600’ 사업의 브랜드화

오직 보성에서만 만날 수 있는 문화·복지·소통… 600시리즈


마을 주민이 직접 나서서 자신의 터전을 가꾸는 대한민국 최초의 주민 참여형, 마을 주도형 사업을 시도해 문화, 관광, 경제 분야에서 유무형 가치 재창출의 선순환을 이룬 지방자치단체가 있다. 바로 보성군이다.
보성군은 민선 7기부터 역점 시책으로 '우리 동네 우리가 가꾸는 보성600'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면서 후속작으로 '소통600', '문화600', '복지600', '클린600', '안심600', '산림600'사업을 시작했다.
△군민이 주인이 되는 진정한 지방자치 보성600
2020년부터 시작된 '우리 동네 우리가 가꾸는 보성600'은 보성에 있는 600개 자연 마을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마을을 가꾸는 주민 참여형 사업이다.
고질적인 쓰레기 무단 투기 장소였던 곳은 보성600 사업으로 꽃밭이 조성됐고, 비행이나 범죄가 우려되는 지역에는 마을의 특성을 살린 벽화가 그려졌다.
주민들은 마을 앞 공한지에 두릅, 해바라기, 작약 등 소득형 작물을 심으며 소속감과 연대감을 키워갔으며, 득량면에서 마을 공동 소득 작목으로 심은 두릅은 '보성 두릅 축제 한마당'이라는 소규모 마을 축제가 됐다.
보성600 사업은 마을 공동체를 부활시키고, 주민자치를 실현하는 사업으로 의미를 인정받아 전라남도에서 '청정전남 으뜸마을 만들기 사업'으로 선정돼 22개 시‧군 전역으로 확대 시행되고 있다. 2024년 한 해만 전라남도 3천여 개 마을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총 8천여 마을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다.
△군민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는 소통600
'소통 600'은 군수 직통번호(☎010-5438-0600)로 생활 민원이나 정책 제안, 불편 사항 등을 문자메시지로 보내면 군수가 직접 확인하고 담당 부서의 검토를 거쳐 48시간 이내에 민원인에게 처리 결과를 안내하는 소통 창구다.
지난 7월 22일부터 시행한'소통 600'은 80일 동안 총 250건의 문자가 접수됐다. 그중 생활민원이 136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안전 및 복지 관련이 뒤를 이었다.
'소통600'은 군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보성 군정에 반영하는 중요한 통로로, 최근에는 신속하고 빠른 민원 해결에 감사·칭찬 문자도 늘고 있다.
보성 김운기 기자 gwangmae56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