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장서 모인 민주주의, 5·18 담아… ‘아! 오월, 다시만난 오월’
검색 입력폼
종합

광장서 모인 민주주의, 5·18 담아… ‘아! 오월, 다시만난 오월’

5·18 45주기 민간주도 행사 윤곽 공개
‘소년이 온다’ 모티브 체험 활동 등 다채
전야제, 금남로 4가로 옮겨 시민 만남도

[광전매일신문] 5·18민주화운동 45주기를 맞아 기획된 민간주도 5·18기념행사가 12·3 비상계엄 정국 타파를 외친 광장에서 다시한번 시민들과 함께한다.
17일 제45주기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에 따르면 5월 한 달 동안 광주 곳곳에서 행사위가 주관하거나 행사위와 협력·공모를 통해 진행되는 다양한 5·18 계기 행사가 열린다.
‘아! 오월, 다시만난 오월’을 대주제로 열리는 행사들은 12·3 비상계엄 이후 광장에서 모였던 민주주의 열망을 5·18 광주가 이어가겠다는 취지를 담았다.
엄중한 탄핵 정국 속에서도 응원봉을 흔들며 민주주의를 열망한 시민들의 바람을 민주주의의 씨앗인 5·18과 잇겠다는 다짐이다.
올해 행사에는 시민 공모에 참여한 42개 단체와 전국 광역시·도 14개 지역 행사위가 추진하는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펼쳐진다.
먼저 전통적으로 5·18 하루 전날인 17일 치러지는 오월시민난장, 민주평화대행진, 전야 행사 등이 광장에서 시민들과 어우러진다.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오월시민난장은 ‘오월광주, 민주주의대축제’를 주제로 체험마당과 거리무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지역 극단이 참여해 5·18을 되돌아보는 거리극을 펼치고 국가폭력·재난참사 희생자들의 아픔을 어루만지는 합창단의 공연이 진행된다.
노벨문학상 수상자 한강 작가의 작품 ‘소년이 온다’ 속 등장인물들의 시점에서 5·18을 체험하는 ‘소년의 기억’ 행사도 마련됐다.
시민난장 이후에는 동구 수창초등학교에서 시작해 금남로 전야제 무대로 향하는 ‘민주평화대행진’을 열어 1980년 5월 당시 광주 시민들이 벌였던 민족민주화성회를 재현한다. 수백여 명의 시민들이 행진하며 민주주의 완성을 거듭 촉구하는 메시지를 다양한 방식으로 전한다.
민간행사의 꽃인 전야제가 열리는 무대는 그간 진행돼온 전일빌딩245 앞 삼거리에서 금남로 4가역 교차로로 옮겨진다.
교차로 한복판에 무대를 설치, 일방적 무대가 아닌 4면을 활용해 중심으로 모여 서로를 마주보는 시민들의 모습을 담는다.
환영의 대축제, 민주주의 대축제, 빛의 대축제 등 3부로 꾸려진 전야제는 광주시민과 예술인 단체들이 총출동한다. 오월어머니들의 ‘님을 위한 행진곡’ 합창과 ‘맨발의 보컬리스트’ 가수 이은미의 공연도 함께한다. 전야제는 행사에 참여한 전원이 옛 전남도청으로 행진하는 퍼포먼스로 마무리한다.
이밖에 5·18 당일 오후에는 5·18민주광장에 특설무대를 설치하고 민주대성회를 연다. 행사는 1980년 5월23일부터 나흘간 진행된 ‘민주수호범시민궐기대회’를 재현, 각계각층 시민들의 의견수렴·자유발언 공간을 마련한다.
행사위 관계자는 “올해 5월은 오월정신이 전국화, 세계화되는 개화기다. 오월 광주를 찾는 시민들이 해방광주가 꿈꿨던 대동세상을 특별한 경험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겠다”며 “1980년 대동세상을 뛰어넘어 전혀 다른 새로운 세상의 가능성과 표상을 보여주는 민주주의의 대축제로 기념행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박도일 기자 gwangmae56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