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의료·돌봄·일생활 복지 강화
검색 입력폼
종합

내년 의료·돌봄·일생활 복지 강화

광주시, 2818억 투입… 생애주기별 47개 사업 추진

광주시가 2025년도에 예산 2818억원을 투입해 의료·돌봄·일생활 복지를 강화한다. 광주시는 내년에 가정돌봄 분야의 보편적 복지와 중소기업 근로자와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는 생애주기별 47개 사업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우선 '아이낳아 키우기 좋은 엄마·아빠가 편한 광주'를 만들기 위해 의료·돌봄·일생활 케어를 강화한다.
내년 출생아부터 광주시에 출생신고를 한 출생가정에 1인당 50만원의 '출생가정 축하 상생카드'를 지원하고 '임신부 가사돌봄 서비스'는 사업비를 2억원에서 4억원으로 증액한다.
동일생활권 내 3~5가구로 구성된 모임이 이웃의 자녀를 돌보는 긴급 육아 품앗이인 '삼삼오오 이웃돌봄'도 올해 19개 모임에서 내년 40개 모임으로 지원을 확대하고 한다.
저출생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중소기업 근로자와 소상공인을 위해 광주시는 '대체인력 근로자 인센티브'를 신설해 최대 200만원(3개월·6개월 각 100만원)을 지원한다.
2022년 전국 최초로 시행한 '초등학부모 10시 출근제 장려금 지원'은 대상자를 300명에서 500명으로 확대 추진한다.
광주시는 KB금융그룹, 한국경제인협회와 업무협약을 맺고 '소상공인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1인여성자영업자 임신·출산 대체인력비 지원' '사업 연계 네트워크 지원' 소상공인 인사·노무 멘토링' 등도 지원한다.
'소상공인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은 3개월~12세 이하 자녀를 둔 소상공인이 공공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때 최대 36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1인여성자영업자 임신·출산 대체인력비 지원'은 임신과 출산후 6개월 이내 대체인력을 고용하는 경우 최대 300만원을 지원한다.
어린이집에 다니는 3세 아동 3000명을 대상으로 전문검사를 실시하는 '영유아 발달 컨설팅' 사업을 시행하고 장애위험군 영유아를 조기 발견해 적절한 치료 연계를 제공한다.
건강한 임신·출산을 위해 의료비를 지원하고 공무원이 육아와 업무를 병행할 수 있도록 '임신검진 동행휴가' '8세 이하 자녀 공무원 아이키움휴가' '초등생 공무원 아이키움시간 부여' 등 특별휴가 3종 세트도 시행한다.
광주시 관계자는 "시민들이 보편적 복지를 누릴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며 "광주형 돌봄이 정착돼 생활하기 좋은 도시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도일 기자 gwangmae56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