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 화재는 난방이 이뤄지는 겨울철에 많이 집중됐다. 이는 축사시설의 노후된 전기시설과 불에 타기 쉬운 가연성 보온재 사용 등으로 화재 위험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축사에서는 규격과 용량에 맞는 전열기구를 사용하며, 볏짚, 사료 등 가연물 주위에 소화기 비치해야 한다. 또한 축사 주위에서 용접과 소각 행위를 자제하여 화재 발생을 사전에 차단해야한다.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요인적 측면을 살펴보면 '전기적 요인'이 가장 많았다. 그러므로 농가에서는 잘못된 전기 설비 사용은 하지 않으며 전기 기구의 접촉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주위에 먼지와 거미줄이 쌓이지 않게 관리해야 한다.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점검하는 등 평상시 전기 설비의 점검을 통한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 요인으로는 화기 취급 등 '부주의'로 인한 화재 발생이다.
불씨나 담배 등 화염을 일으킬 수 있는 물품은 절대 축사 내부에 가져가지 말아야 하며 축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화재 방지 시설을 철저히 유지 보수하는 등의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이외에도 축사 대부분이 소방서에서 멀리 떨어진 도심 외곽에 위치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진화가 어려운 데다 동 간격이 비좁고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한 방화벽 등이 없어 쉽게 연소가 확대되는 취약성을 안고 있는 것도 피해 확대의 원인으로 꼽힌다. 따라서 축사 관계자 스스로가 안전의식을 함양하고 화재예방을 생활화하여야 한다.
최근 소 럼피스킨병과 아프리카 돼지열병에 이르기까지 축산농가의 시름은 이미 깊은데 대형 화재까지 발생하면 이들의 소중한 가축들이 모두 소실되어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축산농가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화재 예방을 위해 노력하여 축산농가의 입가에 웃음꽃이 피기를 희망한다.
해남소방서 예방안전과 표정훈 gwangmae56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