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vs불법” 송정시장 노점상 난립에 ‘안전 빨간불’ 5일장 맞춰 시장 일대 노점… 교통혼잡 민원 소방차 진입 어렵고 차량 돌진 사고 위험도 노점 과태료 0건 ‘상권침해’ 기존 상인 갈등 “다양한 주체 참여 협의체 구성,상생 논의를” 오덕근 기자 gwangmae5678@hanmail.net |
2025년 02월 24일(월) 10:14 |
|
광주 송정시장 불법 노점상 난립에 따른 통행 불편·안전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나 해결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노점이 장날이면 도로를 점용해 영업을 하고 있지만 관행이자 생계 수단이라는 점에서 광산구도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영세상인의 생존권과 시민 보행권·안전문제가 평행선을 달리면서 합리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지난 18일 찾은 광주 광산구 영광통~송정5일시장 600m구간 일대는 장날에 맞춰 열린 노점으로 북새통을 이뤘다.
대로 양 옆과 인도, 시장을 향하는 골목길 곳곳에는 가판과 파라솔을 편 노점상이 빼곡했다.
송정5일시장이 생긴 1960년대부터 하나 둘 생겨난 노점들이다. 도롯가에 위치한 노점 상인만 150명에 육박한다.
편도 2~3차선 중 1개 차선에는 도로까지 나와 가판을 벌린 상인, 물건을 싣고 내리느라 도로에 정차한 화물차들이 눈에 띄었다.
퇴근시간과 맞물리면서 이 일대 교통 혼잡은 가중됐다.
무분별하게 들어선 노점으로 아슬아슬한 상황도 펼쳐졌다.
당일에는 시장 골목에서 후진하던 차량이 수산물·과일 노점을 덮쳐 운전자와 행인 2명이 경상을 입었다. 상인들은 "자칫하면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뻔 했다"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5m넓이의 도로 양 옆에 수십 여개의 노점상이 들어서면서 소방차 진입도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약 열흘 전 송정5일시장에 발생한 화재로 피해를 입은 한 상인은 "새벽에 불이 나서 그나마 다행이다. 낮에 났으면 소방차 진입 자체가 어려웠을 것"이라고 전했다.
노점상인과 입점상인간 갈등도 이어지고 있다.
광산구에 임대료를 내고 장사하는 시장 상인들은 형평성과 상권 침해를 이유로 강력한 단속을 요구하고 있다. 노점 상인들은 5일장이 생긴 이후 수십년간 이어온 생계 수단이라며 맞서고 있다.
그러나 관할 지자체인 광산구는 노점 갈등 해결에 적극 나서지 못하고 있다.
광산구는 통행 불편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자 4년 전 송정5일시장 노점에 대대적으로 과태료를 부과하려 했으나 노점상인들의 거센 반발로 무산됐다. 이후 노점 계도만 할 뿐 최근 3년간 도로 무단 점용에 따른 노점상 과태료 부과는 하지 않고 있다.
노점상인회는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면서 노점 영업을 이어가도록 대책을 마련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다양한 주체가 참여한 협의체를 구성해 노점을 양성화나 기존 상인과의 상생안을 찾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14차례 노점·주민 협의 끝에 노점 위치를 옮겨 양성화한 '광주 서구 상무금요시장'처럼 제도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것이다.
한 광산구의회 의원은 "한순간 발생한 노점이 아닌 시장이 생겨나면서 오래전부터 장사해온 상인들이 많아 '정리'의 대상으로 보기엔 한계가 있다"며 "시장 전체 활성화 차원에서 현대화나 특색 살린 전통시장을 만들어야한다. 기존 상인들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주체가 머리를 맞대 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 광산구 관계자는 23일 "현재로선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도 밖에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노점 문제 해결은 여러부서가 참여한 큰 계획 아래에서 진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오덕근 기자 gwangmae567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