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져 가는 가족기능 살려야
편집국 gwangmae5678@hanmail.net
2024년 07월 12일(금) 07:00
현대사회는 불확실성 시대다. 그만큼 모든 사회현상들이 급변해 가고 있다. 때문에 수많은 사회문제들이 표출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중에서도 가족기능이 급속히 무너져가고 있다. 이제는 전통사회의 가족기능은 그 어디에서도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핵가족의 시대를 넘어서 일 세대 내지는 단독세대가족이 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설령, 가족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삶을 함께 영위한다고 하더라도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감이 매우 희박해져 가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이미 예견되었던 바다. 그래서 과거 개발독재 정권 시절에도 뜻있는 사람들은 경제의 안정과 성장의 균형발전을 주창했던 것이다. 안정이 도외시된 체 성장 위주로만 독주하게 되면 이들이 균형을 잃고서 정신적 아노미 현상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당시 리더들은 이를 도외시했다. 그래서 오늘날 우리 사회는 수많은 병리 현상을 유발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는 곧 사회 문제화되어 우리들의 체제를 위협하기까지 한다. 그중에서도 우리 사회를 지탱해주는 가장 기초단위인 가족체제가 무너진다는 사실이다.
특히 이를 구성해주는 최초의 결합체인 부부 사이의 연성화는 가족 붕괴의 가장 큰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들이 한 지붕 밑 이혼 부부 내지는 이혼으로 치달을 때, 수많은 문제를 양산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자녀 양육 및 노인부양문제 등 각종 사회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곧 청소년 문제, 한 부모 가족 문제, 빈곤 문제 등 여타의 문제들로 연쇄적 파생을 거듭해가기도 한다. 그래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국가의 복지정책 필요성이 필수적으로 대두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부부이혼 시에 자녀의 양육만은 이혼 부부 중 어느 한쪽이 맡으려는 경향이 있는 것이 그나마 다행스런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것도 남성보다는 여성이 가지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는 무의식적으로 흐르는 부성불확실성의 원리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여성이 자녀의 양육을 떠맡게 될 때, 남편으로부터의 적절한 양육비 수급 여부가 중요한 문제로 부상된다. 만약 그것을 제 때에 받지 못하게 되면 자녀 양육에 먹구름이 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타의 교육 또한 한쪽의 성만으로는 원만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자녀의 모방모델 한쪽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때문에 한 부모에 의한 자녀 양육은 많은 문제를 수반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못지않게 급부상하는 또 하나의 문제는 가족 기능 약화에 의한 노인 문제다. 노인들은 젊어서부터 자녀들을 위해 온갖 희생과 정성을 다해왔다. 자녀를 하나의 애정의 상징이자 재산의 개념으로 양육한 것이다. 그런데 정작 그 자녀들은 그러한 노부모를 백안시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 반증 중 하나가 우리나라의 높은 노인자살률이라 할 수 있다. 과거에 비해 증가일로에 있다. OECD 국가 중에서도 1위다. 그 주요 원인은 폭력과 방치 그리고 가난과 질병, 외로움 등이다. 이에 대한 국가의 특단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오늘날처럼 일반적인 가정에서도 가족 기능이 급속히 약화 되어 가는 현실 앞에서는 더더욱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와같이 모든 사회문제의 근원은 가족으로부터 비롯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국가 및 지역사회를 비롯한 우리 모두는 무너져가는 가족 기능을 되살리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이다. 그것은 곧 나와 내 가족을 위한 것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시인, 사회복지학박사
임성욱 박사
편집국 gwangmae5678@hanmail.net
이 기사는 광전매일신문 홈페이지(gjnews.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gjnews.kr/article.php?aid=2865141526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15일 07:2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