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시장은 24일 오전 출입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전남도에 함흥차사, 무안군에 양심불량이라고 했던 자신의 발언에 대해 지난 22일 국정감사에 이어 사과의 뜻을 재차 표명했다.
하지만 강 시장은 사과와 별개로 공항 통합 이전을 위한 3자 간 회동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
강 시장은 지난 22일 국정감사에서 "전남도와 무안군이 요구하고 있는 것(사과)은 얼마든지 수용할 수 있지만 논의가 쳇바퀴만 돌고 있어 답답하다"며 "광주와 전남도, 무안군이 한계에 부닥친 만큼 이제는 당과 국회, 정부가 나서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강 시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도 "광주, 전남, 무안의 노력만으로는 역부족"이라며 "중앙정부가 범정부협의체 운영을 재개하고, 민주당은 특위를 구성해 당사자가 풀기 힘든 매듭을 풀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강 시장이 정부와 민주당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하는 것은 광주시 자체적으로 할 만큼 했고, 더 이상 당사자 간 대화로 풀기 어렵다는 의중이 깔려 있다.
광주시는 지난 9월 초부터 시청 공무원으로 홍보반을 구성한 뒤 무안군민 3만여 명을 만나 공항 통합 이전을 홍보해 왔으나 시장과 도지사, 무안군수의 대화가 단절돼 성과가 무색한 상황이다.
강 시장의 요청과 달리 정부와 중앙 정치권도 광주 군·민간공항 통합 이전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어 공항 문제는 또 다시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 내에서는 군·민간공항 통합이전을 당론으로 채택해 달라는 광주시장의 요구에 대해 시·도지사, 시·도 국회의원 간 시각차가 있는 만큼 당론 채택은 어렵다는 분위기가 흐르고 있다.
2021년 4월 문재인 정부 당시 국무총리실이 범정부 상설협의체를 구성했으나 몇차례 형식적인 회의만 하다 협의체 운영이 중단됐던 전례에 비춰 군공항 이전은 정부도 쉽게 뛰어들기 어려운 난제다.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 김산 무안군수는 지난 7월 말 전남 영암에서 첫 3자 회동을 갖고 3시간 동안 공항 문제를 논의했으나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하는 데 그쳤고 이후 관계가 더 틀어져 다음 회동 시기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박도일 기자 gwangmae5678@hanmail.net